1. 마스넷(MASnet)의 배경과 목표
2018 년 이더리움(Ethereum)의 창시자이며 개발자인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은 “Hard Question to Crypto People”이라는 포스트에서 블록체인 세계가 당면하고 있는 7 가지 어려운 질문을 제기하였습니다. 이 포스트에서 비탈릭 부테린은 블록체인 거버넌스의 근본적인 결함 문제 등 7 가지의 핵심문제를 탁월한 통찰력으로 제기하였습니다.
1 “The Problem With Hashing Power”(해싱파워 집중의 문제)
2 “Where Are All the DApps?”(유용한 대규모 서비스가 없는 문제)
3 “The Problem With Security”(해킹 등 보안상의 문제)
4 “How Will DApp Works With Latency?”(DApp 의 속도 문제)
5 “Is PoW Wasting Money?“(PoW 의 자원 낭비 문제)
6 “Does Staking Risk Centralization?”(PoS 의 중앙집중 문제)
7 “How Will Blockchain Governance Work?”
이러한 문제제기는 현재 많은 개발자들에 의해서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하였으며, 상당한 수준으로 해결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기존 웹포털(Web Portal)이나 SNS(Social Network Service)와 비교될 수 있는 대규모 탈중앙화 어플리케이션인 DApp 서비스는 아직 미비한 상태입니다.
마스넷 프로젝트는 비탈릭 부테린 제기한 문제 중 가장 핵심적인 문제를 DApp 서비스의 미활성화 문제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를 중심으로 나머지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합니다.
1) 마스넷의 목표(Mission)
“웹 3.0 비즈니스를 전면적으로 지원하는 지능형 블록체인 플랫폼”
최근 웹(Web)은 분산 응용어플리케이션인 DApp(Distributed Application) 서비스 단계인 웹 3.0(Web3.0) 단계로 진화•발전하였습니다. 특히, 최근 NFT 서비스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인하여웹3.0 으로전환이주요관심으로대두되고있으나,아직전면화되지못하고있는 실정입니다.
마스넷은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대규모 DApp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비즈니스 측면: 대규모 사용자 지원 비즈니스 지향, 생태계 위주 블록체인 플랫폼
웹 2.0 규모와 서비스 수준의 비즈니스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플랫폼 개발의 가장 우선적인 중요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마스넷은 이러한 당연하지만 쉽지 않고 현재 블록체인 플랫폼들이 안고 있는 현안 문제를 해결하는 생태계 위주의 플랫폼을 개발하고자 합니다.
기술적 측면: 빠른 처리 속도와 인공지능 지원 웹 3.0 친환경 플랫폼
대규모 사용자와 서비스를 위해서 가장 중요한 기술적 전제는 빠른 처리 속도입니다. 마스넷은 빠른 처리를 위한 합의알고리즘과 AI 지원을 위한 네트워크 구성 및 환경 친화적인 기술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토크노믹스(Tokenomics) 측면: 생태계 확장 및 성장과 함께하는 토큰 이코노미
마스넷의 토크노믹스는 대규모 생태계를 가능하게 하는 규모와 할당 정책을 세우고 있으며, 네트워크 효과를 통한 생태계의 급속한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 마스넷의 배경
마스넷 개발은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과 함께 4 차산업혁명으로 포괄되는 AI, 빅데이터, 메타버스 등 IT 기술의 새로운 전개 등 기술적 측면과 웹 3.0 서비스로 대표되는 새로운 서비스 파라다임 등의 비즈니스 측면에서 배경을 두고 있습니다.
웹3.0의 대두
인터넷은 1992 년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인 WWW 이후 포털로 대표되는 웹 1.0, SNS 의웹 2.0 으로발전해왔습니다.
웹 3.0 의 주요 핵심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탈중앙화(분산성)
탈중앙화는웹3.0의핵심적인특징입니다. 웹1.0,웹2.0 에서는제공정보가중앙의서버에집중되어있는것과달리,웹3.0 은 물리적인 정보 분산뿐만 아니라, 정보에 대한 사용자 권리 및 자기 개인정보에 대한 통제권 부여 등 명확히 구분되고 있습니다.
2. 신뢰및허가배제(TrustlessandPermissionless)
웹3.0은중개자에대한신뢰및 허가를 배제하고 P2P 네트워크를 통한 사용자 간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3. 인공지능(AI)
웹3.0 의주요한특징중의하나는AI서비스입니다.웹3.0 은최근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미지 컴퓨터 비전, 자연어 처리 및 시멘틱 웹과 증권 및 가상자산 시장 예측서비스 등을 서비스하는 것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4. 연결성과 무소부재성(Connectivity and Ubiquity)
웹 3.0 을 통해 정보와 콘텐츠는 더 많이 연결되고 유비쿼터스화 되어 여러 어플리케이션과 웹에 연결된 장치의 수가 IoT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급속히 증가하게 됩니다.
인공지능 AI(Artificial Intelligent)의 대두와 블록체인과의 결합
글로벌 컨설팅 업체인 PwC 컨설팅은 2030 년까지 AI 가 세계 경제에 최대 $15.7T 의 가치를 생산하여 세계 GDP 의 14% 증가시킬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IT 시장조사 기관인 가트너(Gartner)는 블록체인으로 인한 가치 증가가 같은 해 $3.1T 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블록체인은 데이터의 무결성과 불변성을 핵심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AI 는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을 통하여 학습 모델을 구축하고 훈련시켜 의사결정 및 예측 등 지능적인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블록체인과 AI 는 데이터를 매개로 하여 서로에게 이익이 되고 도움이 되는 관계에 있으며, 데이터 활용을 새로운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
2008 년 비트코인 백서가 발표된 이후 블록체인 기술을 1 세대에서 3 세대를 거치면서 많은 발전을 이어왔습니다.특히, 블록체인의 기술적 핵심인 합의알고리즘은 PoW, PoS, PBFT, PoA 등 많은 알고리즘이 개발되어 속도문제와 보안 및 확장성 및 환경 이슈 등을 해결하고 있습니다.
또한 웹 3.0 단계를 개척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한 스마트컨트랙트 기술은 이더리움의 EVM(Ethereum Virtual Machine) 기반의 웹서비스로 표준화되고 있습니다.
마스넷은 이러한 최신의 블록체인 기술을 전면적으로 수요하고 있습니다.
3) 마스넷이 해결하려는 문제점
발전된 블록체인 내•외부 환경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도약을 위해서는 새롭게 나서는 문제들을 올바로 식별해내고 해결해야 합니다. 마스넷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 과제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생태계 친화적이지 않은 블록체인 플랫폼
블록체인은 동일한 네트워크와 프로토콜 및 기술 그리고 동일한 토큰 이코노미(Token Economy)를 기반으로 하는 생태계 속에서 작동되고 있습니다. 블록체인 플랫폼의 가치는 그 블록체인이 형성하고 있는 생태계의 규모와 활동성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몇몇 소수의 블록체인 플랫폼을 제외하고는 의미 있는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경우가 거의 없는 실정입니다.
그 주된 이유는 비즈니스 서비스에 대한 지향성이 약하고, 그 전망이 불투명함에 따라 가상자산 투자 측면이 부각되면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AI 등, 웹 3.0 지원 제약
이더리움이 공개된 이후 스마트컨트랙트와 이더리움 웹 인터페이스의 도움으로 웹3.0 으로의전환이급속히전개되었으나,웹3.0 의DApp 은아직웹2.0 을대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비탈릭 부테린이 언급한 바와 같이 대규모 DApp 이 요구하는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의 처리 속도와 용량의 제한에 기인하고 있으나, 최근 블록체인 기술은 이러한 문제를 상당한 수준으로 해결하고 있으며, DID, NFT 등 일부 서비스에서 그 가능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제약은 기술적 문제 보다는 비즈니스 지향의 생태계 중심 블록체인 플랫폼의 부재로 인한 문제입니다.
고비용 운영비
현재 압도적인 최대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과도한 해시파워의 사용으로 인한 네트워크 유지 비용의 부담이 높은 실정입니다. 특히, 최다 DApp 을 서비스하고 있는 이더리움은 DApp 에 부과하는 플랫폼 사용료인 가스비(Gas Fee) 정책으로 인하여, 사용 서비스에 대해서 전체 사용량의 증가에 따른 가스비 상승 시 초기 스타트업 DApp 에 과도한 부담으로 작용하여 비즈니스를 어렵게 하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초기 블록체인 플랫폼 설계 시 다양한 비즈니스 단계 및 종류를 고려하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입니다.
환경 친화적이지 않고 중앙집중적인 블록체인
최근, 환경문제는 경제적인 면에서뿐만 아니라 사회, 정치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을 비롯한 해시파워를 사용하는 블록체인은 세계적으로 환경문제 관련하여 지탄을 받고 있으며, 이는 또한 대중적으로 블록체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확산시키는 데 일조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러한 해시파워가 일부 대규모 채굴장에 집중됨에 따라 블록체인의 탈중앙성을 훼손시키고 있으며, DPoS 의 경우 거대 고래의 스테이킹과 거대 전산센터 운영으로 인한 독점화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4) 마스넷의 인사이트(Insight)
마스넷 프로젝트는 블록체인 세계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문제의식으로 마스넷 개발에 일관되게 적용되어야 하는 인사이트를 도출하였습니다.
비즈니스 기반의 지속가능성
마스넷은 비즈니스 지향의 웹 3.0 AI 지원 플랫폼으로 그 지속가능성은 플랫폼 상의 DApp 의 비즈니스 성공과 생태계의 지속적이고 비약적인 확대에 있으며, 이것이 마스넷의 가치제안(Value Proposition) 입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비즈니스의 연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유지는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생명선과 같습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유지는 핵심적인 중요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마스넷은 네트워크 운영을 비즈니스 단위와 연계하여 비즈니스의 활성화가 네트워크의 강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합니다.
웹 3.0 DApp 서비스 전면적 지원
마스넷은 전면적인 서비스 위주의 플랫폼으로 AI 웹 3.0 서비스를 자기 완결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AI 와 블록체인이 결합한 웹 3.0 DApp 을 위하여 플랫폼은 필요한 기술적 지원체계를 갖추고, 토크노믹스를 제공합니다.
2. 마스넷의 해결방안
“서비스와 비즈니스 그리고 생태계는 마스넷 플랫폼이 추구하는 핵심가치입니다.”
마스넷은 이러한 핵심가치를 올바로 구현하기 위하여 기 보유 솔루션과 노하우 그리고, 최신의 기술을 적용하고 토크노믹스 제공하고 있습니다.
1) 축적된 기술 및 경험의 통합
마스넷 프로젝트팀은 그간 블록체인 기술 개발과 서비스 경험 등 모든 자산을 마스넷 플랫폼 개발에 투입하여 경쟁력 있고 최선의 결과물이 나올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마스넷의 보유 자산: 기술(DeFi, 사이드체인 및 NFT 등 솔루션) 및 비즈니스 역량
마스넷은 기반기술 측면에서 그리고 서비스 측면과 마케팅•비즈니스 측면서 축적되어 자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1. 기반기술
사이드체인(저비용고속),가상자산지갑(마스터뱅크,마스터월렛,페이), NFT 발행•거래, 블록체인 평가시스템 및 메인넷, 가상자산 거래소 개발 및 AI 딥러닝 기반 AI 지수 예측 기술 등과 블록체인 메신저 기술
2. 서비스
망고월드(우리동네 단골가계 할인 정보 알람 서비스).AIOR(AI기반암호화폐 가격 예측 서비스), P2P 에스크로 서비스, 망고메신저 (블록체인기반 메신저)
3. 마케팅•비즈니스
NFT 기술거래소, 미술 NFT 플랫폼, 실물기반 부동산 NFT 거래소 및 마케팅 네트워크
마스넷 플랫폼으로의 통합
마스넷 기술•비기술적 자산의 마스넷 플랫폼으로의 통합은 자산 자체의 소스레벨에서의 통합인 직접통합과 Know-How 나 서비스의 모델의 적용을 통한 간접통합 방식으로 추진합니다.
1. 직접통합
메인넷, 사이드체인, 가상자산 지갑, NFT기술, 블록체인 평가 시스템 및 AI 예측기술과, 미술품 NFT 플랫폼, 부동산 NFT 거래소 등
2. 간접통합
블록체인 메신저 기술,마케팅 네트워크 등
마스넷 플랫폼의 성공을 보장하는 안정적 기반
마스넷의 기보유 자산으로 마스넷 플랫폼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며, 마스넷 플랫폼 개발을 성공으로 이끌어 내도록 할 것입니다. 특히, 대부분이 직접통합이 가능함에 따라 마스넷 개발을 안정적으로 이끌어 내는데 더욱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2) 생태계 확장을 지원하는 플랫폼
마스넷은 DApp 활성화를 통한 비즈니스의 역동적 전개를 이끌어 내어 플랫폼 생태계를 지속적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생태계 확장을 위한 방안은 다양하게 기술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SPoA(Smart Contract Node DPoA):
SPoA 는 스마트컨트랙트 노드와 DPoA(Delegated Proof of Authority) 합의알고리즘을 결합한 알고리즘으로 마스넷의 독자적으로 제안하는 기술입니다. 기존 PoW 의 과도한 해시파워를 사용하는 블록생성 메커니즘이 아닌, 네트워크 운영에 소요되는 비용을 스마트컨트랙트 노드에서 마련하고, 합의알고리즘은 효율적이고 강력한 DPoA 메커니즘을 적용하는 방식입니다.
그럼으로써, 원활한 DApp 운영을 할 수 있는 성능을 보장할 수 있게 합니다.
MAS-EVM:
현재, 스마트컨트랙트의 표준으로 정착하고 있는 이더리움의 EVM 과 완벽하게 호환되어, ERC 및 EIP 표준을 모두 지원할 수 있도록 하여 EVM 호환 이기종 블록체인과 스마트컨트랙트 이식성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Web3 웹프록시를 지원하여 이더리움 기반의 DApp 기술과 라이브러리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그럼으로써, 기 구축된 이더리움 기반의 DApp 을 손쉽게 이식할 수 있게 하며, DApp 개발의 편의성을 높이 제공하고 있습니다.
AI DApp 플랫폼:
AI 웹 3.0 DApp 을 용이하게 개발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마스넷은 AI 플랫폼을 위한 별도의 AI 노드를 지원하고 있으며, AI 노드는 GPU 장착 하드웨어와 딥러닝 개발을 위한 텐서플로우, 케라스 등의 딥러닝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여 AI DApp 을 개발하고 서비스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Token Factory:
마스넷 플랫폼은 플랫폼 코인으로 마스코인(MAS Coin)을 발행하여 유통시키며, 이와 별도로 DApp 에서 사용되는 토큰을 발행하고 유통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웹 3.0 DApp 을 서비스하는 비즈니스 단위는 자신만의 토큰 이코노미를 구현하고 적용할 수 있습니다. 토큰 팩토리는 토큰을 손쉽게 발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툴(Tool)입니다.
MAS-PMS(MAS Policy Management Service):
마스넷 플랫폼은 플랫폼 내부 운영 정책 및 외부 생태계 관련 정책에 대해서 정의, 수정 및 삭제 등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합니다. 생태계 구성원과 노드 참여자들은 가중치 있는 투표를 통해서 정책 결정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3) 비즈니스 성공을 위한 토크노믹스(Tokenomics) – 토큰 인센티브
SNS 를 중심으로 한 웹 2.0 에서는 초기 사용자를 확보하는 문제는 콜드스타트(Cold Start) 문제로 비즈니스 마케팅의 기본적이고 매우 중요한 핵심적인 해결 과제입니다. 마케팅의 기본 방향은 네트워크 효과를 목표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네트워크 효과는 사용자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효과를 말합니다. 따라서, 웹 2.0 에서는 초기 콜드스타트를 견디어 내고 네트워크 효과가 발생시킬 수 있는 정도 규모의 비즈니스 단위가 성공할 가능성이 매우 높았습니다.
블록체인 웹 3.0 에서는 웹 2.0 과 비교할 때, 토크노믹스를 활용할 때보다 효과적으로 네트워크 효과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현실에서는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마스넷 플랫폼은 토크노믹스 기본 룰(Rule)을 설계할 때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웹 3.0 비즈니스와 콜드스타트(Cold Start)
웹 3.0 에서는 가상자산 토큰을 사용자들에게 인센티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웹 3.0 의 강력한 무기로 스타트업들이 비즈니스 초기 콜드스타트 문제를 피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는 것입니다.
“기본 아이디어는 네트워크 효과가 시작되기 않은 부트스트랩 단계 초기에 토큰 보상을 통해 사용자에게 재정적 유용성을 제공하여 기본 유틸리티의 부족을 만회하는 것입니다”(Chris Dixon)
그러나, 네트워크에 소극적으로 참여하는 사용자들은 토큰 인센티브가 줄어듦에 따라 네트워크 참여도가 급속히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따라서, 웹 3.0 스타트업은 콜드스타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오히려, 토큰 인플레이션만을 발생시키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웹 3.0 네트워크 효과를 위한 토큰 인센티브
웹 3.0 서비스가 초기 콜드스타트를 극복하고 네트워크 효과를 보다 효율적으로 가져오기 위해서는 소극적 참여자 보다는 해당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적극적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적극적 참여자를 대상으로 서비스의 유틸리티(활용) 정도에 따라 토큰 인센티브가 제공될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합니다. 마스넷의 토크노믹스는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인센티브 정책을 수립하였습니다.
4) 인공지능(AI) 지원 블록체인 플랫폼
AI DApp 은 마스넷 플랫폼이 강력한 웹 3.0 플랫폼이 될 수 있도록 기여하고 있습니다.
블록체인은 AI 는 데이터, 알고리즘 및 컴퓨팅 파워측면에서 기술적 도움을 주고 있는 반면 블록체인은 AI 로부터 메가 DApp 서비스 영역을 제공해줍니다.
블록체인을 통해 양질의 추적 가능한 데이터를 AI 제공하면 AI 는 DApp 서비스의 활성화로 블록체인 생태계의 확대에 기여하게 되는 상승작용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마스넷 플랫폼은 AI 지원 플랫폼으로 생태계 활성화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AI 지원 마스넷 플랫폼
마스넷 플랫폼은 AI 지원을 위하여 필요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노드 단위로 제공합니다.
AI 노드의 소프트웨어는 모두 오픈소스(Open Source)로 제공되지만 하드웨어는 GPU 가 내장된 고사양의 컴퓨터가 필요함에 따라, 사용에 따른 수수료의 가중치가 다른 서비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으며, 이 수수료는 AI 노드 참여자에게 지급되어 AI 노드 유지 및 운영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합니다.
AI 노드는 다음의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AI 노드 모니터링 및 서비스 제공
AI 데이터 파이프라인 프레임워크 및 저장소 관리
AI 딥러닝 프레임워크 및 툴
AI 프로비저닝(Provisioning) 및 가상화
5) 스마트컨트랙트 노드(Smart Contract Node)
스마트컨트랙트 노드는 컴퓨터 하드웨어를 사용하지 않는 스마트컨트랙트로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노드입니다.
마스넷에서 스마트컨트랙트 노드 개념을 개발하여 사용하는 것은 해시파워 컴퓨팅을 이용한 채굴 방식의 문제점이 환경문제뿐만 아니라, 블록체인의 성능(속도)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입니다. 마스넷에서는 스마트노드 즉 마스넷의 시스템 스마트컨트랙트에서 일정량의 플랫폼 코인이 발행되도록 하고 있으며, 채굴량은 노드의 확대 정도에 따라 변동됩니다.
스마트컨트랙트 노드는 마스넷의 시스템 스마트컨트랙트(System Smart Contract)입니다. 시스템 스마트컨트랙트는 다른 사용자 스마트컨트랙트와 구별되어 블록체인 제네시스 블록에 컨트랙트 정보가 저장되어, 마스넷의 시작 시점부터 정해져 있습니다. 시스템 스마트컨트랙트는 이러한 특성으로 시스템 내에서 요구되는 기능 즉 마스넷 플랫폼의 본원적 특성과 특징을 규정하는 기능을 적용할 때 사용됩니다.
스마트컨트랙트 노드가 하는 일은 아래와 같습니다.
채굴(Mining)
하드웨어 노드 참여 시 가중치 반영 보상
거버넌스 참여 시 가중치 반영 투표권 행사
6) DPoA(Delegated Proof of Authority) 합의알고리즘
DPoA 합의알고리즘은 마스넷이 독자적으로 창안한 알고리즘으로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에 주요 사용되는 PoA 메커니즘에 대표자 선출 및 위임 방식을 결합한 알고리즘입니다.
PoA 합의알고리즘의 장점과 한계
1. 장점
PoA 에서 노드는 권위노드(Authority Node)로 사회•경제적 평판이나 신뢰성 및 공정성 등이 객관적으로 검증된 것을 기준으로 노드 참가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네트워크의 안전성은 무작위로 참여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내에서 부정적인 활동을 할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할 수 있습니다.
2. 한계
이러한 권위노드는 노드 참여에 대한 엄격한 검증이 요구됨에 따라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에는 적합하지 않은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는, 엔터프라이즈 단위에서 중앙에서 지정된 노드를 권위노드로 지정하여 운영함으로써 탈중앙화를 훼손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는 한계가 있습니다.
DPoA 합의알고리즘
DPoA 는 PoA 메커니즘의 장점을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 임의로 참여하는노드에대한권위노드참여여부및권위를위임받는프로세스를새로정하여 설계한 합의알고리즘입니다.
DPoA 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노드의 종류
는 권위노드 뿐만 아니라, 풀노드(Full Node), 라이트노드(Light Node) 등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2. 위임된 대표자 노드
는 권위 노드들의 투표로 정해집니다.
3. 투표는
평판 및 신뢰성, 공정성을 판단할 수 있는 공개된 정보와 운영하드웨어의 성능 및 유지관리 능력과 함께, 플랫폼 내 비즈니스 규모 및 실적 등을 반영한 가중치에 따라 실행됩니다.
4. 위임된 대표자 노드
는 플랫폼으로부터 일정한 보상을 받게 됩니다.
3. 마스넷의 기술
마스넷의 주요 기술 구성은 블록체인 플랫폼 아키텍처와 스마트컨트랙트 노드, DPoA 합의알고리즘 및 AI 노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 마스넷의 플랫폼 구성
마스넷 플랫폼은 플랫폼 코어 레이어인 “MAS Mainnet Core”와 웹 인터페이스 프레임워크 및 AI 프레임워크가 적재된 프레임워크 레이어와 최상단에 외부 DApp 인터페이스와 시스템 DApp 을 지원하는 레이어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각 계층은 표준기술과 프로토콜 사용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모두 오픈소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마스넷 플랫폼의 아키텍처 상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MAS-EVM, Web3 API
1. 마스넷은 이더리움 EIP 및 ERC 프로토콜을 준용하여 ERC-20, ERC-721 등 모든 규격과 호환 가능합니다
2. 마스넷은 EVM(Ethereum Virtual Machine)과 Web3 프레임워크를 지원함으로써, Web3.0 DApp 의 상호 이식성이 보장됩니다.
3. 마스넷 웹 인터페이스는 Json-RPC 등 표준화된 API를 사용함으로써, 웹 인터페이스의 상호운용성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MAS-PMS
1. MAS-PMS 는 플랫폼 거버넌스와 관련된 주요 규약을 시스템 스마트컨트랙트로 구현한 모듈입니다.
2. 시스템 스마트컨트랙트는 그 정보가 블록체인 제네시스 블록(Genesis Block) 또는 특정한 블록에 저장하고 있어, 마스넷 블록체인의 본질적 성격을 규정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3. MAS-PMS 는 스마트컨트랙트 내에 외부 정보 입력을 위해 준비된 변수 값을 변경하는 방법으로 제한된 범위 내에서 정책에 대한 변경을 할 수 있습니다.
MAS System DApp
1. 시스템 DApp 은 블록 익스폴로러, MAS 지갑, 토큰팩토리 및 AI 서비스 프로바이더가 있습니다.
2. 시스템 DApp 은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시스템 어플리케이션과 시스템 스마트컨트랙트와 연동되어 작동하는 DApp 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3. 마스넷은 시스템 스마트컨트랙트를 활용하여 플랫폼에 다양한 기능을 코어에 대한 변경없이 적용할 수 있습니다.
마스넷의 노드 구성
1. 마스넷은 스마트컨트랙트 노드인 마스터 노드와 권위노드 및 위임대표자 권위노드 및 풀노드, 라이트노드, 부트노드(Boot Node)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2. 마스넷 노드에서 블록을 생성하고 트랜잭션 검증(Validation)을 수행하는 노드는 권위노드입니다.
3. 마스터노드는 스마트컨트랙트 노드로 소프트웨어 노드이고, 나머지 노드들은 모두 물리적으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노드입니다.
2) DPoA 합의알고리즘
DPoA 합의알고리즘은 마스넷에서 처음으로 적용되는 고성능의 안전하고 안정적인 합의알고리즘입니다.
DPoA 는 PoA 알고리즘이 가지고 있는 강력한 성능과 안정성을 전적으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DPoA 메커니즘
마스넷에 적용된 DPoA 는 블록확정시간(Block Confirmation Time)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최고 수준의 성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블록체인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제반 기술이 적용되어 있는 강력한 합의알고리즘입니다.
1. 최고 수준의 합의알고리즘
DPoA 는 위임대표자 권위노드 간의 순차적으로 블록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작동함에 따라, 최고 수준의 성능을 보이고 있습니다.
DPoS 의 검증 라운드(Validation Check Round)가 2 ~ 3 즉 O(N2) ~ O(N3)임과 비교할 때, DPoA 는 1 라운드(Round)로 O(N)임에 따라, 그 성능 및 속도의 차이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2. DPoA 는 라운드에 참여하는 권위노드들에게 미리 정해진 노드 ID 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블록을 생성합니다.
3. 순차적인 블록생성이 완료된 후에는 마지막 권위노드에서 새로운 시작 ID를 생성하여 각 노드들에게 전달합니다.
4. 새로 시작하는 권위노드는 선행 마지막 노드가 생성한 블록의해 시값 중 일부에 대한 모듈러 함수 MOD(h(Block))를 사용합니다.
5. 그럼으로써, 외부에서는 어떤 권위노드에서부터 블록생성이 시작하는지를 알 수 없게 됩니다.
권위노드(Authority Node)의 대표자 선출 방식
1. 참여 권위노의 사회경제적 평판, 신뢰성 및 플랫폼 생태계 활동성과 비즈니스 규모 등과 운영 컴퓨터 하드웨어의 성능 및 유지보수 등의 지표에 가중치를 반영하여 권위노드들이 투표하여 위임 대표 권위노드를 선출합니다.
2. 위임대표 권위노드에서의 탈락은 노드의 평판이 훼손된 경우나 운영 컴퓨팅 장비의 결함 발생 그리고, 물리적 네트워크의 불안전성 등이 발생할 경우 자동으로 이루어집니다.
3.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안정적인 운영과 합의알고리즘의 정상 메커니즘을 위하여 위임대표 권위노드는 예비 권위노드를 선정해두고, 비상 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DPoA 와 보안
1. 51% 공격에 대한 방어력
DPoA 는 무작위로 노드에 참여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음에 따라, 외부의 네트워크 침입에 의한 장악 문제는 근원적으로 불가합니다. 따라서, 높은 수준으로 노드의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악의적인 노드 참여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습니다.
2. 내결함성(FaultTolerance)지원을 통한 네트워크 안정성 확보
DPoA 는 운영 노드의 장애에 대처하는 기능을 내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내결함성은 DPoA 가 CFT(Crash Fault Tolerance) 알고리즘을 병행하여 지원함으로써 지원되는 것입니다.
DPoA 의 탈중앙화
1. DPoA 는 주기 또는 비주기적으로 위임대표 권위노드 교체를 실시하도록 되어 있어, 특정 노드에게 권한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습니다.
2. 특히, 새 블록생성 노드의 선정이 마지막 생성 블록의 해시값의 특정 영역의 수자에 대한 모듈러 값으로 결정함에 따라 권한 집중의 문제를 제거하고 있습니다.
3) AI노드 – AI 지원 블록체인 플랫폼
AI 노드는 마스넷의 특별한 서비스로 블록체인 플랫폼 내에 AI 플랫폼이 포함되어 있는 것과 같습니다.
AI 노드의 구성
1. AI 노드는 가장 아래 레이어에 프로비저닝(Provisioning)과 가상화 인프라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지원하는 것은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컴퓨팅 자산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입니다.
2. AI 노드의 코어는 인프라 위에서 작동하는 AI 딥러닝 프레임워크입니다. 프레임워크는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텐서플로우, 케라스, 파이토치 및 트랜스포머 등 오픈소스 프레임워크로 대부분의 프레임워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3. 또한 학습데이터 및 테스트 데이터의 업로드와 이동 등을 위한 데이터 파이프라인과 저장소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데이터 파이프라인은 아파치 NiFi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4. AI 하드웨어는 GPU를 사용하고 전반적인 성능이 높아야 함에 따라, AI노드에 대한 모니터링 및 미터링(Metering)을 할 수 있는 기능이 시스템 DApp 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5. 마스넷 토크노믹스(Tokenomics)
MAS 코인은 메인넷 코인입니다.
MAS 코인은 선채굴 디플레이션형 코인입니다.
MAS 코인은 별도의 채굴은 없습니다.
MAS 코인의 Maximum Supply(최대공급량)은 2,500,000,000MAS 입니다.
1) 토큰의 분배
판매 : 50%
에어드랍 : 25%
초기 기여자 : 5%
개발팀 : 5%
전락적 파트너 : 5%
마케팅팀 : 5%
R&D : 5%
2) 펀딩 얼로케이션(Funding Allocation)
프로젝트 운용사업비 : 50%
연구개발: 25%
마케팅 : 25%
3) MASNET 가스비 수익 및 직접 운용 플랫폼 수익 재원에 대한 운용 정책( Coin burn policy)
유통 중인 MAS 매입 후 영구 소각 : 순수익의 : 50%
프로젝트 운용 사업비 : 25%
연구 개발 : 12.5%
마케팅 : 12.5 %
References
1. Use this space to add links to references, such as web pages, books, magazines, and more.
3. Example Print Source by TechnologyAdvice
4. “Example Magazine Source” by TechnologyAdvice